비교과 프로그램이란?
home
🎓 비교과 프로그램이란?
home

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 융합트랙 및 마이크로디그리 신청 안내(2차)

핵심역량
자기주도성
주관부서
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단
신청 시작일
2025/07/14
신청 마감일
2025/07/18
생성 일시
2025/07/17 02:06
완료
키워드
운영기간
7월
참여대상
학부
외국인
수강신청 상태
완료
최종 편집 일시
2025/07/22 01:26
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(HUSS)의 융합트랙과 마이크로디그리 신청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. □ 신청기간 2025년 7월 14일(월) 10:00 ~ 2025년 7월 18일 (금) 23:00 □ 신청방법 : 교내 GLS 시스템 상 온라인 신청-& 참고 영상(  https://buly.kr/CsjPH4l ) ○ 이수신청 : GLS → 정보광장 → 신청/자격관리→ 융합트랙 or 마이크로디그리 이수신청 □ 지원혜택 ○향후 사업단 내 운영 프로그램(해외 탐방, 융합캠프 등) 참여시 가점 부여 ○ 교육과정(마이크로디그리, 융합트랙) 참여 학생 중 우수학생 선정 후 장학금 지급 □ 향후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단 프로그램 내 장학금 및 상금 지급 시 교육과정 이수 必 ○ 융합트랙이란? - 학문단위별 교육 특성에 따라 사회진출과 연계된 실용·융합역량 또는 학문단위 기본소양 역량 강화하는 융복합 교육과정 ○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단(HUSS) 개설 융합트랙 &인구구조 변화와 회복사회& - 성균관대학교는 인구구조가 급변하는 사회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창의·융합형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요구됨에 따라, 본 융합트랙을 통해서 인구구조 변화로 파생되는 사회문제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고, 데이터 리터러시, 협력·갈등관리를 통해 창의·융합적인 정책 대안을 도출하는 역량을 키우고자 함 -이수기준 : 융합트랙 내 교과목 18학점 이수 ○ 융합트랙 구성 교과목(융합트랙 자체편성 과목 및 C/L 과목) - 1학기 ㆍ사회연결망 분석과 공공네트워크 관리: 네트워크 거버넌스 ㆍ지역데이터통계분석 ㆍ공공갈등관리 ㆍ공공부문 ESG 이해: 환경, 사회 및 거버넌스 ㆍ정책평가론(행정학과, C/L) ㆍ지역문화와 철학 재발견 캡스톤 디자인(유학동양학과, C/L) - 2학기 ㆍ저출산과 사회정책 ㆍ청년과 사회복지 ㆍ인구문제 관련 이론과 데이터 분석 ㆍ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디자인 ㆍ이머징 미디어와 지속가능 커뮤니티 ㆍ노인건강정보 ㆍ사회변화와 스트레스 ○ 이수 신청 자격 - 신입학자로서 3개 학기 이상 등록한 재학생/휴학생 혹은 편입학자로서 2개 학기 이상 등록한 재학생/휴학생 [유급학기 제외. 이하 동일함.] - 학과진입 비대상자는 2개 학기 이상 등록한 재학생/휴학생부터 신청 가능 - 학번(입학년도) 제한 없음 - 반도체시스템공학과, 소재부품융합공학과, 약학대학, 의과대학 소속 학생은 융합트랙 신청 불가 ○ 세부사항 - 융합트랙을 이수 시 제1전공 이수학점은 학과에서 지정한 복수전공 이수학점으로 변경 - 융합트랙 신청 전 융합트랙 대상 과목을 기 이수한 경우에도  융합트랙 대상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함 - 융합트랙은 졸업요건으로 융합트랙 이수인증에 필요한 학점을 모두 취득하지 못한 상태에서 학칙에 따른 과정수료 학점(18학점)을 충족하지 못 하는 경우 해당학기 졸업사정에서 탈락 처리됨.  (단, 지정 기간에 학사시스템을 통해 융합트랙 포기 신청을 하고 학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는 졸업요건에서 제외됨) - 융합트랙을 이수한 학생의 경우 성적·졸업증명서의 학과명 뒤에 이수내역을 표기함  (예시: 인구구조변화와 회복사회 융합트랙 이수) - 기본적으로 융합트랙 인원제한은 없음 - 융합트랙 포기 신청 후, 기 승인된 포기 신청은 취소할 수 없음 - 융합트랙을 이수 중 중도에 포기한 경우,  이미 이수한 융합트랙 과목은 선택과목으로 인정 - 신청가능한 융합트랙의 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함 - 융합트랙 이수 학생이 융합트랙과 제1전공 또는 제2전공 간에  공통으로 편성된 C/L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6학점 이내에서 중복 인정 가능 - 본 융합트랙 교과목은 모두 전공심화 교과목으로 구성 □ 마이크로디그리 ○ 마이크로디그리란? - 특정학문 분야에서 제시하는 과목군에서 최소 단위(micro) 학점을 이수하면 이수내역을 인증하는 학점단위 인증제 ○ 마이크로디그리 개설 내역 - K-철학커뮤니케이터(주관학과: 유학.동양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고령화사회 디지털헬스(주관학과: 문헌정보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지역사회 정보분석(주관학과: 문헌정보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AI테크놀로지와 커뮤니티 리브랜딩  (주관학과: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지능형 실감미디어와 지역문화 콘텐츠  (주관학과: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소셜임팩트 크리에이터(주관학과: 사회복지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초고령 시대의 지역사회 개발(주관학과: 사회복지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데이터기반 지역문제해결(주관학과: 행정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사회통합과 커뮤니티개발(주관학과: 행정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다문화사회와 갈등관리(주관학과: 행정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인구전환과 사회적 대응(주관학과: 행정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지역거버넌스(주관학과: 행정학과/ 9학점 이수 요건) - 인간발달과 정신건강 전문가(주관학과: 심리학과/ 12학점 이수 요건) ** 사회학과, 정치외교학과, 아동청소년학과, 소비자학과 등 신규 참여학과는 각 학과에서 신규 마이크로디그리 또는 교과목을 구성하고 있습니다. ○ 이수 신청 자격 - 신입학자로서 3개 학기 이상 등록한 재학생/휴학생 혹은 편입학자로서 2개 학기 이상 등록한 재학생/휴학생 [유급학기 제외. 이하 동일함.] - 학과진입 비대상자는 2개 학기 이상 등록한 재학생/휴학생부터 신청 가능 - 학번(입학년도) 제한 없음 ○ 세부사항 - 마이크로디그리를 이수하더라도 기존에 이수중인 제1~3전공 이수기준학점은 변경되지 아니함 - 마이크로디그리 신청 전 마이크로디그리 대상과목을 기 이수한 경우에도 마이크로디그리 대상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함 - 마이크로디그리는 졸업요건이 아니며, 마이크로디그리 이수인증에 필요한 학점을 모두 취득하지 못한 상태에서 학칙에 따른 과정수료학점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졸업사정 대상자에 포함되어 과정 수료처리됨 - 마이크로디그리를 이수한 학생의 경우 이수내역을 표기한  소정의 이수증을 발급할 수 있음(학위증은 발급하지 않음) - 기본적으로 마이크로디그리 인원 제한은 없음 - 마이크로디그리 포기 신청 후 포기 취소할 수 없음 □ 문의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단 사무실 : 다산경제관 32103B호 Tel : 02-740-1692 E-mail : huss.cvg@skku.edu Instagram : skku_hus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