숭례(崇禮)는 예절의 기본정신을 알고 구체적 사례의 실습을 통해 예의식을 고취시키며 올바른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기본으로 타인에 대한 공경심과 배려심을 함양하는 프로그램입니다. K-한복의 특징과 입는 방법 및 공수법과 배례법 등의 전통 인사법을 익히고, 술 마시는 예절인 향음주례(鄕飮酒禮)와 차(茶) 마시는 예절인 다례(茶禮)를 실습합니다. 학교나 사회생활에서 필요한 현대매너 등의 실용적 예절을 실습과 토론을 통해 학습합니다.
숭례(崇禮)Ⅰ_향음주례
<향음주례(鄕飮酒禮)>는 전통사회에서 선비, 유생들이 향교와 서원 등에 모여 학덕과 연륜이 높은 분을 주빈(主賓)으로 모시고 술 마시는 예절을 익히는 프로그램입니다. 주례(酒禮)를 통해 효도, 공경, 공손, 봉사, 절제심 등의 마음을 익힐 수 있습니다. 전통적으로 헌작(獻爵: 주인이 손님에게 술대접하기) → 작례(酌禮: 손님이 주인에게 술대접하기) → 수례(酬禮: 주인이 두 번째 손님에게 술대접하기) 등의 순서로 의식을 진행하지만, 이것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.
프로그램구성
연구원
활동단계
활동 내용 시간
도입
◾수업에티켓 소개, 프로그램 설명
5분
전개
1단계 : 예란 무엇인가?
- 예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알고 예의 본질을 안다.
- 예의 어원, 원리, 역할, 구용, 구사 등을 이해한다.
15분
2단계 : 한복 입기와 절하기 실습
- PPT로 한복과 배례법에 대해 이해한다.
- 한복입기 실습 / 큰절, 평절 실습
30분
3단계 : 향음주례 실습
- 실제로 술을 마시며 음주 예절과 '술 잘 마시는 법'을 익힌다
40분
마무리
- 이론과 실습 과정에서의 의문점 질의
- 체험에 대한 느낌을 공유하기
- 한복 포토타임
10분
숭례(崇禮)Ⅱ_인성다례
<인성다례(人性茶禮)>는 차(茶)를 음미하고 대접하는 과정을 익혀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K-예절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. 다례문화를 통해 한국 전통의 가치와 정신을 존중하면서 우리 문화의 우수성에 대한 자긍심을 기를 수 있습니다. 또한 행다(行茶: 차를 우리는 행위)는 심신 수양과 안정, 회복탄력성(resilience) 발휘에 도움이 됩니다.
프로그램구성
연구원
활동단계
활동 내용 시간
도입
◾명상+인사 : 수업매너 소개, 프로그램 설명
5분
전개
1단계 : PPT 설명
- 차란 무엇인가?
- 예절이란 무엇인가?
15분
2단계 : 공수법, 배례법, 행다 실습
- 공수법, 배례법 시범 및 실습
- 차주(茶主) 선정하기 및 다구 배치
- 행다 시범 및 실습
30분
3단계 : 상견례 행다
- 각 조마다 상견례 행다 실습
40분
마무리
- 이론과 실습 과정에서의 의문점 질의
- 차와 명상
10분
※ 매 학기 2~3회 운영. 수업 환경 변화에 따라 프로그램 진행 횟수와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※ 창의품 2시간 인정, 2025학번은 FYE세미나 15점 부여
Plain Text
복사